양산반다비체육센터



모두의 공간에서 피어나는 희망.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이용할 수 있는 양산반다비체육센터. 다양한 이용자 맞춤형 시설과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단순한 체육시설을 넘어 복합 문화 공간으로 자리 잡고 있다. 서로의 다름을 이해하고 배려하며 성장하는 현장을 찾았다.




96dbe6daa94b8.png


"이곳에서는 어르신들이 자연스럽게 아이들을 배려하고, 서로 차이를 이해하며 잘 어울리고 있습니다."
양산반다비체육센터에서 장애 아동의 수영 프로그램을 2년째 진행해온 시립어깨동무어린이집 윤원숙 원장의 말이다. 이전에 일반 체육센터를 이용할 때는 장애 아동들의 소리나 행동으로 인한 민원이 적지 않았다고 한다. 




96dbe6daa94b8.png



양산반다비체육센터의 가장 큰 특징은 철저한 이용자 중심의 시설과 프로그램이다. 수영장의 경우 가족탈의실을 마련해 보호자와 함께 준비할 수 있고, 유아 풀에서 체온을 유지한 후 수업에 참여하는 등 세심한 배려가 돋보인다.
윤 원장은 "아이들이 수영하며 정서적·신체적으로 눈에 띄게 성장하고 있어요. 부모님들도 매우 만족해하시고요"라고 말했다. 특히 "주말이면 가족과 함께 센터를 찾는 아이들이 늘고 있다"며 흐뭇한 미소를 지었다. 




96dbe6daa94b8.png

센터 옆 숲



센터의 또 다른 자랑거리는 '도심형 심신 치유 프로그램'이다. 센터 인근의 '유아숲체험원'에서 진행되는 이 프로그램은 산림 치유와 수영을 결합한 4개월 과정으로, 전국에서 처음 시도하는 혁신적 방법이다. 김학태 팀장은 "꼭 깊은 산속에서만 치유가 이뤄질까요? 도심에서도 자연을 느끼며 힐링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싶었습니다"라고 설명했다.



96dbe6daa94b8.png

양산시시설관리공단의 반다비체육센터팀 김학태 팀장



반딧불이를 모티브로 한 센터 디자인도 특별하다. 이러한 디자인은 우연한 발견에서 비롯했다. 개관 전 센터 인근 유아숲에서 발견한 반딧불이를 보고 영감을 받은 것. 김 팀장은 "회색 건물의 삭막함을 넘어 따뜻한 감성을 담고 싶었어요. 밤하늘을 수놓는 반딧불이처럼 이곳이 희망의 빛이 되길 바랐죠. 더불어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서로 배려하고 화합하는 공간이 되길 바라는 마음도 담았습니다"라고 말했다. 이 독창적 디자인 콘셉트는 최근 특허청 등록까지 마쳤다.




96dbe6daa94b8.png

슐런 프로그램에 참여 중인 정영이(65) 씨




슐런 프로그램도 활발하다. 네덜란드의 전통 보드게임인 슐런은 집중력과 전략이 필요한 종목으로, 현재 이곳에서는 많은 농아인이 참여하고 있다.
10개월째 슐런을 즐기고 있는 정영이(65) 씨는 "슐런은 머리를 많이 쓰는 운동이에요. 30개 디스크로 경기할 때는 최고점이 270점인데, 이 점수를 내기가 정말 어렵죠. 구멍마다 점수가 다르고, 1차전부터 3차전까지 진행하면서 전략적으로 플레이해야 합니다"라고 설명했다.
매주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하루 2시간씩 꾸준히 훈련한 결과는 실력으로 이어지고 있다. 참가자들은 서울과 제주, 창원 등 전국 각지에서 열리는 대회에 참가하며 실력을 겨루고 있다. 



96dbe6daa94b8.png

아쿠아로빅을 즐겁게 배우고 있는 김영애(65) 씨의 모습




통합 공간의 진정한 힘은 비장애인의 적극적인 참여와 이해에서 나온다. 2년 전부터 이곳을 이용하고 있는 김영애(65) 씨는 아쿠아로빅 수업에 즐겁게 참여하고 있다. "다른 센터에 4년간 다니기도 했지만, 이곳 시설은 특히 깨끗하고 쾌적해요. 무엇보다 강사님이 열정적이고, 우리가 어디가 아프다고 하면 그에 맞는 운동을 알려주세요"라며 만족감을 표했다.
아쿠아로빅 오미성 강사도 회원들의 적극적인 참여에 힘을 얻는다. 오 강사는 "통합 수업이 잘 이루어지려면 회원님들이 함께 도와주셔야 해요. 다행히 이곳 회원분들은 누구나 함께할 수 있도록 서로 배려해주시죠. 그 덕분에 저도 더 열심히 지도하고 있습니다"라고 말한 뒤 "일하러 올 때는 힘들어도, 회원님들의 기운을 받아 더 즐겁게 수업할 수 있다"며 환하게 웃었다. 




96dbe6daa94b8.png

이용자 편의를 고려한 세심한 배려가 돋보인다. 넉넉한 공간의 파우더 룸과 장애인가족실이 대표적이다.





96dbe6daa94b8.png

96dbe6daa94b8.png

양산반다비체육센터는 최근 장애인 콜택시 승강장을 마련했다.
교통 약자 콜택시 대기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주차장 내 설치된 이 공간에는 냉·온열 벤치와 어닝을 갖춰 사계절 내내 편리하게 이용 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성공을 바탕으로, 센터는 더 큰 도약을 준비 중이다. 옥상 유휴 공간을 활용해 자동 개폐형 루프톱 풋살장을 조성할 예정이다. 김 팀장은 "1년 중 100일 가까이 비가 내리는데, 개방형 풋살장의 경우 비 오는 날에는 수업을 진행하기가 어려워요. 자동 개폐형 풋살장이 완공되면 날씨와 상관없이 장애인, 청소년, 여성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연중 운영할 수 있죠"라고 말했다.
이처럼 양산반다비체육센터는 꾸준히 진화하고 있다. "저희는 단순한 체육시설을 넘어 복합 문화 센터를 꿈꿉니다. 이곳을 찾는 모든 분, 특히 아이들의 무한한 가능성을 믿기 때문이죠." 김 팀장의 말처럼, 이곳은 운동하는 공간을 넘어 모두가 함께 성장하는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96dbe6daa94b8.png




 INFO.  양산반다비체육센터

2022년 10월에 문을 연 양산반다비체육센터는 경남 지역 최초 준공 시설이다. 현재 연간 12만여 명이 찾는 지역의 대표적 체육 공간으로 자리 잡았다.
센터의 핵심 시설인 수영장은 휠체어 진입로를 갖춘 25m 성인 풀(5레인)과 수중 재활 풀(2레인), 15m 유아 풀(2레인)로 구성되어 있다. 장애인 전용 강습,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하는 통합 강습 등 시간대별로 나뉘어 진행된다. 수영장 옆 체육관에서는 배드민턴, 좌식배구, 슐런, 요가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연중 운영한다. 




주소경남 양산시 물금읍 부산대학로 34
전화055-379-8410
운영 시간월~금요일 06:00~22:00, 토·일요일 및 공휴일 09:00~18:00
휴관매월 둘째 · 넷째 주 일요일, 1월 1일, 설날, 추석(연휴 포함)





 유명은
사진 정재환




어빌리브에 실린 글, 그림, 사진 등 모든 자료 가운데 저작권자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것은 대한장애인체육회에 저작권이 있으며, 서면 동의 없이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05540 서울시 송파구 올림픽로 424 올림픽회관 신관 
대한장애인체육회 홍보마케팅부 02-3434-4533
COPYRIGHT 2008-2023 KPC ALL RIGHTS RESERVED.


         


05540 서울시 송파구 올림픽로 424 올림픽회관 신관
대한장애인체육회 홍보마케팅부 02-3434-4533

서비스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어빌리브에 실린 글, 그림, 사진 등 모든 자료 가운데 저작권자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것은 
대한장애인체육회에 저작권이 있으며, 서면 동의 없이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COPYRIGHT 2008-2023 KP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