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식배구

2024-07-26







# 오직 장애인스포츠에서만 볼 수 있는 특별한 종목
# 힘과 스피드보다 매력적인 코트 위 치열한 두뇌게임
# 장애 유무와 상관없이 모두 함께 즐기는 생활체육 종목 




#01 선수 규모 및 구성

최대 14명의 선수와 1명의 감독, 2명의 코치, 1명의 물리치료사, 그리고 의사 1명으로 팀을 구성할 수 있다. 한 팀에 2명의 리베로(수비 전문)를 둘 수 있으나 경기 중에는 1명의 리베로만 뛸 수 있다. 경기는 6명의 선수가 참여하며 전위 3명과 후위 3명으로 구분되며 경기 기록지에 기재된 선수만이 코트에 들어갈 수 있다.


#02 득점

블로킹을 포함해 세 번의 터치 안에 상대 네트로 공을 보내야 한다. 상대 코트에 볼이 닿은 경우 득점하며 1~4세트는 25점, 5세트까지 이어진 경우 15점 총 3세트를 이겨야 한다. 24:24점(1~4세트) 혹은 14:14점(5세트)인 경우 2점을 앞선 팀이 승리한다.


#03 선수교체와 타임아웃

각 팀은 매 세트 여섯 번의 선수교체와 타임아웃 2번을 요청할 수 있다. 1~4세트에는 한 팀이 8점과 16점을 먼저 선취할 때마다 1분의 레퍼리 타임아웃을 부여한다. 그러나 마지막 세트(5세트)에는 레퍼리 타임아웃이 적용되지 않는다.


#04 리프팅

좌식배구 경기에만 있는 독특한 경기 규칙. 공격(서브)이나 수비(블로킹 포함) 시 엉덩이가 지면에서 떨어진 채 볼을 다루면 ‘버턱스(buttocks)’ 반칙이 선언된다. 다만 블로킹을 제외한 수비 동작 시, 볼이 네트 상단보다 아래에 있는 경우엔 허용한다.


#05 복장

복장은 상의, 바지(반바지, 긴바지), 양말과 운동화로 구성된다. 신발을 신지 않아도 경기할 수 있다. 다만 두꺼운 재질 위에 앉거나 특별히 제작된 두꺼운 반바지나 바지는 입을 수 없으며 팀 복장의 색상 및 디자인은 동일해야 한다(리베로 제외).


#06 좌식배구 공인구

고무 혹은 유사 재질로 만든 내피에 유연한 가죽(합성가죽) 표피로 만든다. 볼의 둘레는 65~67cm이고, 무게는 260~280g이다. 경기에 사용되는 모든 볼은 둘레, 무게, 압력, 형태, 색상 등이 동일한 기준을 지녀야 한다.


#07 금지 물품

선수에게 부상의 위험이 있거나 인위적인 이점을 줄 수 있는 물품은 착용이 금지된다. 다만 자신이 위험 부담을 안는 경우 안경 및 렌즈를 착용할 수 있으며 압박 패드(무릎/팔꿈치 보호대 등)는 보호나 지지를 목적으로 착용이 가능하다.



좌식배구의 특징
- 좌식배구 코트는 사이드라인 10m(18m), 앤드라인 6m(9m)으로 네트 높이가 남자 1.15m(2.43m), 여자 1.05m(2.24m)이다.
- 좌식배구에서는 상대방 ‘서브’를 바로 블로킹할 수 있다.
- 좌식배구는 네트 상단 5cm 백테선 터치 시 반칙이 불린다.
- 좌식배구에서는 둔부가 라인 터치 기준이며 상대 플레이에 방해되지 않는다면 신체 일부가 센터라인을 넘어갈 수 있다.






 편집부
검수 대한장애인배구협회 임영일 상임심판





어빌리브에 실린 글, 그림, 사진 등 모든 자료 가운데 저작권자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것은 대한장애인체육회에 저작권이 있으며, 서면 동의 없이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05540 서울시 송파구 올림픽로 424 올림픽회관 신관 
대한장애인체육회 홍보마케팅부 02-3434-4533
COPYRIGHT 2008-2023 KPC ALL RIGHTS RESERVED.


         


05540 서울시 송파구 올림픽로 424 올림픽회관 신관
대한장애인체육회 홍보마케팅부 02-3434-4533

서비스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어빌리브에 실린 글, 그림, 사진 등 모든 자료 가운데 저작권자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것은 
대한장애인체육회에 저작권이 있으며, 서면 동의 없이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COPYRIGHT 2008-2023 KP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