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요함이 비결이죠”



최근 쿠알라룸푸르 아시아태평양농아인게임에서 동메달을 획득한 태권도 이진영 선수를 만났다.
2022 브라질 데플림픽대회와 2024 세계선수권대회에서 금메달을 딴 그녀는 발목 부상 투혼 끝에 또 하나의 값진 성과를 이뤘다. 



96dbe6daa94b8.png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제10회 쿠알라룸푸르 아시아태평양농아인게임에서 동메달을 따셨는데, 대회 과정과 경기에 대해 말씀해주세요.

첫 아시아 대회 출전이라 기대되면서 떨리기도 했어요. 용인대 훈련 중 수술했던 발목을 다시 부상당해 걱정이 됐지만, 단장단과 대한장애인체육회 관계자, 그리고 국가대표 선수단 모두 한마음으로 응원해주셔서 너무 감사했습니다.



대한민국 선수단은 종합 2위라는 큰 성과를 거뒀습니다. 현장 분위기는 어땠나요?

현장 분위기는 매우 뜨거웠고, 열정이 넘쳤습니다. 특히 응원이 최고였죠.



96dbe6daa94b8.png

2024년 12월에 열린 아시아태평양농아인게임에 출전한 이진영 선수 모습 




2021 카시아스두술 하계 데플림픽대회 금메달, 2024 세계농아인태권도선수권대회 금메달에 이어 2024 아시아태평양농아인게임까지 국제 대회에서 꾸준히 좋은 성적을 내고 있는데, 비결이 있다면요?

집요함이에요. 전 뭔가에 한번 꽂히면 몰두하는 성향이 있습니다. 매 대회 그 자리를 지키는 게 쉽지는 않은데 새로운 대회가 열리면 목표가 생기고, 그 목표를 향해 달려가는 꾸준함과 집요함이 좋은 시너지를 내는 것 같아요.



2021 카시아스두술 하계 데플림픽대회 결승전에서의 감동과 의미를 들려줄 수 있을까요?

2021 카시아스두술 하계 데플림픽대회는 제 인생에서 가장 행복하면서도 힘든 순간이었어요. 2017 삼순 데플림픽대회 3등, 2021 테헤란 세계농아인선수권대회 초반 탈락 등을 겪은 후 더 독하게 준비했죠. 충남도청에서 동계 훈련을 할 때는 체중 관리와 웨이트 훈련에 매진했고, 야간 개인 운동도 꾸준히 했습니다. 대학원 논문과 병행하는 게 쉽지 않았지만, 가장 행복한 시간이었죠. 강한 상대와의 첫 대결은 오히려 좋은 기회가 되었어요.






태권도는 언제 시작하게 되었나요?

초등학교 4학년 때 처음 태권도를 접했지만, 본격적으로 시작한 것은 고등학교 때였습니다. 세 살 때 열감기를 앓은 후 청각에 어려움이 있었고, 고등학교 때는 청력이 급격히 떨어졌습니다. 하지만 태권도를 하는 게 너무 재미있었죠. 대학교 2학년 때 장애인 판정을 받기 전까지는 계속 비장애인과 함께 운동했습니다.



장애인 판정을 받기 전후 달라진 점이 있나요?

장애인 대회에 처음 출전했을 때가 기억나요. 제가 장애인이라는 것에 대해 스스로 마음이 불편했고 부끄럽기도 했어요. 하지만 그곳에서 신체가 불편한데도 열정적으로 시합하는 선수들의 모습을 보며 큰 영감을 받았습니다. 저보다 청력이 더 안 좋은 선수도, 한쪽 팔이 없는 선수도 있었지만, 모두가 웃으면서 운동하는 모습이 너무나 멋있었어요. 그때부터 장애를 부끄러워하지 않고 더욱 열심히 해야겠다고 다짐했죠.



청각장애 선수로서 경기 중 심판 신호나 상황 판단을 어떻게 하는지 궁금합니다.

경기 중에는 반짝이는 수신호를 보거나 심판의 손짓을 빠르게 캐치해요. 청각에 의존할 수 없는 만큼 시각적인 신호에 더욱 집중하는 훈련을 해왔어요.



충남도청 태권도팀에서의 훈련이 선수 생활에 어떤 영향을 주었나요?

비장애인 선수들과 함께 훈련하면서 많은 동기부여를 받았습니다. 경쟁의식도 생기고 유대 관계도 좀 더 끈끈해졌죠. 지금은 제가 가장 나이 많은 고참이지만, 서로 좋은 시너지를 내며 훈련하는 것이 가장 큰 도움이 된 것 같아요.






본인이 생각하는 가장 큰 강점은 무엇인가요?

제 강점은 큰 키예요. 긴 다리를 활용한 앞발 전술이 주특기죠.



체급 관리는 어떻게 하나요?

체중이 가장 중요한데, 제가 체급에 비해 체중이 적은 편이라 평소에는 체중을 늘렸다가 대회 때 조절하는 방식으로 관리하고 있어요.



앞으로 목표에 대해 말씀해주세요.

2025 도쿄 하계 데플림픽대회에서 2연패를 달성하는 것이 목표예요. 2021 카시아스두술 하계 데플림픽대회 때처럼 자신감을 갖고 준비할 생각이에요. 웨이트트레이닝과 겨루기 전술 능력, 멘털 관리, 이미지 트레이닝을 중심으로 훈련할 계획입니다.






 유명은
사진 정재환





어빌리브에 실린 글, 그림, 사진 등 모든 자료 가운데 저작권자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것은 대한장애인체육회에 저작권이 있으며, 서면 동의 없이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05540 서울시 송파구 올림픽로 424 올림픽회관 신관 
대한장애인체육회 홍보마케팅부 02-3434-4533
COPYRIGHT 2008-2023 KPC ALL RIGHTS RESERVED.


         


05540 서울시 송파구 올림픽로 424 올림픽회관 신관
대한장애인체육회 홍보마케팅부 02-3434-4533

서비스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어빌리브에 실린 글, 그림, 사진 등 모든 자료 가운데 저작권자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것은 
대한장애인체육회에 저작권이 있으며, 서면 동의 없이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COPYRIGHT 2008-2023 KPC ALL RIGHTS RESERVED.